헬스
공부보다 중요한 '이것', 수능 막판 뒤집기는 건강에 달렸다

수능 당일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생체 시계를 시험 시간에 맞춰 재조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수능 1교시는 오전 8시 40분에 시작되는데, 우리의 뇌는 잠에서 깬 뒤 최소 2시간이 지나야 비로소 활발하게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를 역산하면 늦어도 오전 6시 이전에는 기상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갑작스러운 변화는 몸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매일 15분에서 30분씩 점진적으로 기상 시간을 앞당기는 것이 현명하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햇볕을 쬐어 멜라토닌 분비를 조절하고, 저녁 시간에는 스마트폰 등에서 나오는 청색광을 멀리하는 것만으로도 수면의 질을 크게 개선하고 시험 당일 최적의 두뇌 컨디션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식단 관리와도 직결된다. 밤 11시 이전에 잠자리에 들고, 자기 직전에는 머리를 쓰는 문제 풀이 대신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거나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몸의 긴장을 이완시키는 것이 좋다. 특히 잠들기 3시간 전부터는 커피나 에너지 드링크와 같은 고카페인 음료를 반드시 피해야 한다. 시험 전날이나 당일에는 불안감을 키울 수 있는 초콜릿이나 탄산음료도 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수험생들이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신경안정제 복용을 고려하기도 하지만, 이는 매우 위험한 선택일 수 있다. 처음 복용하는 약은 예상치 못한 졸음이나 멍한 상태를 유발해 오히려 시험을 망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을 거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컨디션 조절의 마지막 열쇠는 식단과 운동이다. 시험 당일 공복 상태로 두뇌를 가동하는 것은 절대 피해야 하므로, 밥과 계란, 토스트와 우유처럼 간단하면서도 든든한 아침 식사를 챙겨 먹는 습관이 중요하다. 평소 위장이 예민하다면 시험 전날 저녁에는 튀김이나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 위주로 식단을 구성해야 한다. 몸에 좋다는 이유로 평소 먹지 않던 보양식을 갑자기 먹는 것 또한 복통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어 금물이다. 또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아침이나 점심시간을 이용해 가볍게 걷거나 스트레칭을 하는 것은 좋지만, 과도한 근력 운동은 오히려 피로를 누적시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시험이 임박할수록 새로운 것을 배우기보다, 휴식과 회복에 집중하며 지금까지 쌓아온 것을 믿고 자신감을 다지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마무리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