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쳐

전국 206곳에서 동시에 터진다! 올가을 우리 동네를 바꿀 '공공디자인' 대축제

 우리의 일상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공공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축제의 장이 열린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함께 오는 24일부터 11월 2일까지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페스티벌은 저출생, 고령화, 기후변화와 같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들에 대해 디자인이 어떤 창의적인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지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2025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 대통령상의 영예는 서울 서초구의 '흡연자·비흡연자 공존을 위한 공공서비스'에 돌아갔다. 이 프로젝트는 기술과 디자인을 절묘하게 결합하여 오랜 사회적 갈등이었던 흡연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페스티벌의 시작을 알리는 개막식 및 시상식은 오는 24일, 젊음과 창의의 중심지로 떠오른 서울 성수동 코사이어티에서 화려하게 개최된다. 이 자리에서는 대통령상을 포함한 총 14개 수상작에 대한 시상과 함께, 보이지 않는 곳에서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해 힘써온 지자체 공무원 2명에 대한 유공자 표창도 함께 수여될 예정이다. 대통령상 못지않게 치열한 경합을 벌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에는 국가보훈부의 '처음 입는 광복 캠페인', 네이버 해피빈의 '투명 OLED 기부 키오스크', 그리고 '공공장소 프라이버시·사용자경험 가이드라인 연구'가 각각 선정되어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또한, 시상식장에서는 역대 수상작 중 특별히 '어린이'를 주제로 한 작품들을 모아 선보이는 전시도 함께 열려, 미래 세대를 위한 공공디자인의 따뜻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올해 페스티벌은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적인 참여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특히 올해의 지역협력도시로 선정된 광주광역시는 '예향'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광주시는 그동안 '광주폴리'와 '별밤미술관' 등 지역의 고유한 정체성과 역사를 현대적인 디자인 언어로 재해석하는 성공적인 사업들을 추진해왔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오는 10월 28일 화요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내일을 위한 공공디자인'이라는 주제로 심도 있는 토론회를 연다. 이 자리에는 영국의 앤드류 나이트, 핀란드의 카리 코르크만, 미국의 팀 톰킨스 등 세계적인 공공디자인 전문가들이 해외 연사로 참여해 국내 전문가들과 함께 공공디자인의 사회적 역할과 구체적인 실천 방향에 대해 열띤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이번 페스티벌은 전문가들만의 담론에 그치지 않고, 전국의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공공디자인을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문턱을 대폭 낮췄다. 전국적으로 공공기관, 지자체, 민간 기업 등 무려 206곳이 '공공디자인 거점'으로 참여해 페스티벌의 외연을 넓혔다. 이 중 33곳은 단순한 관람을 넘어, 지역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배울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 연수회, 특별 전시 등을 자체적으로 운영하며 축제의 열기를 전국 각지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시민들은 우리 동네의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디자인의 힘을 직접 경험하며, 공공디자인이 더 이상 낯설고 어려운 개념이 아닌, 우리 삶과 직결된 친숙한 분야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