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데스크
시진핑은 황남빵, 레빗은 올영... 경주 '정상들의 블레저 코스' 대박 예감

경주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개최 성공을 발판 삼아 '포스트 APEC' 관광 전략을 본격 가동하며 글로벌 관광 명소로의 재도약을 선언했다. 세계 정상들이 머물렀던 장소와 경험, 그리고 그들이 즐겼던 음식들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된 만큼, 경주시는 이를 핵심 관광 자산으로 활용해 도시 전체를 새로운 관광 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APEC 기간 동안 각국 정상들이 이용했던 숙소와 회의 장소는 경주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거듭나고 있다. 경주힐튼호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머물렀던 코오롱호텔,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숙박했던 라한셀렉트 경주 등 정상급 인사들이 묵었던 호텔들은 현재 APEC 특별 패키지 상품 출시를 적극적으로 논의 중이다. 이들 호텔은 정상들이 경험했던 품격 높은 서비스와 공간을 일반 방문객들에게 제공하여 '역사적 숙소'라는 프리미엄 이미지를 관광 자산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상들의 공식 회의가 진행되었던 화백컨벤션센터(HICO)는 당시의 회의장을 완벽하게 재현한 특별 전시 공간으로 변모하여, 방문객들이 역사적 현장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APEC 관련 특별 패키지 상품 출시를 적극 검토 중이다. 정상들이 경험했던 최고급 서비스와 공간을 일반 관광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역사적 숙소'라는 프리미엄 이미지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또한, 회의 장소였던 화백컨벤션센터(HICO)는 정상회의장을 그대로 재현한 특별 전시 공간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정상들이 앉았던 의자, 사용한 물품 등을 전시하여 방문객들이 역사적 순간을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국립경주박물관 천년미소관과 경제전시장은 각각 APEC 기념 전시 및 대한민국 산업 교육의 장으로 활용된다.
APEC 기간 중 가장 큰 화제를 모았던 '블레저(비즈니스+레저)' 코스는 경주의 새로운 관광 상품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시 주석이 극찬하며 유명세를 탄 '황남빵'을 중심으로 한 '빵지 순례' 코스는 이미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황남빵 본점은 제품 수령까지 1시간 이상 소요될 정도로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으며, 황남빵 외에도 최영화빵, 찰보리빵 등 지역 빵집의 매출이 동반 상승하는 효과를 낳았다.

캐럴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방문했던 경주 황리단길의 젤라토 가게와 올리브영 쇼핑 코스는 '레빗 코스'로 명명되며 해외 관광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레빗 대변인이 자신의 SNS에 K-뷰티 제품 구매 후기를 올리면서 K-푸드와 K-뷰티에 대한 해외 관심을 증폭시키는 기폭제가 되었다는 평가다. 이 외에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선물했던 신라 금관, 시 주석에게 증정한 비자나무 바둑판 등 APEC 관련 모든 요소가 관광 자원화된다.
APEC 개최를 계기로 경주는 숙박 시설과 전시 행사 등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도시 인프라를 개선했다. 특히 국내 1호 관광단지인 보문단지는 낡은 이미지를 벗고 현대화에 성공했다. 육부촌 미디어파사드와 보문호반 광장의 신라 탄생 신화 조형물 등은 새로운 야간 명소로 자리 잡았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APEC 정상들과 경제인, 정부 관료들이 다녀간 경주의 모든 공간이 새로운 관광 동력이 될 수 있다"며 "이를 토대로 K문화의 신바람을 일으키고 경주를 세계적인 역사·문화 관광 도시로 만들겠다"는 강력한 포부를 밝혔다.







